열등감은 심리학의 키워 중에 핵심이듯 인생에서도 핵심

선교논단 wmnews.org

열등감은 심리학의 키워 중에 핵심이듯 인생에서도 핵심

국제선교신문 기자 기사 등록: 2021.08.05 02:10

237366936_3hYDwpJo_f4f7d82995c274b278108e4b28310c92078a8bd0.jpg


'열등감'은 숨겨진 심리학의 키워드 중에 핵심 키워드이다상담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 해결의 열쇠이자문제를 만드는 모든 배경이기도 하다어쩌면 심리학의 보물 중 보물이요신체의 허리와 같이 자신을 지탱시켜주는 마음의 허리라 할 수 있다그런데도 대부분 자존감에만 관심을 가졌을 뿐 정작 열등감은 소외되어 왔다.

열등감은 누구에게나 있다한 가지 열등감을 극복하고 떨쳐버렸다고 해서 두 번 다시 생기지 않는 것도 아니다한 가지를 극복하고 나면한 차원 더 높은 다른 열등감이 기다리고 있다알고 보면 열등감 때문에 삶의 의미와 보람을 느끼며더 높은 자아실현을 추구하게 된다이럴 때 열등감은 '최고의 선물'인 셈이다그러나 극복하지 못한 열등감은 물귀신처럼 딱 달라붙어 좀처럼 떨어지지 않으며 사람을 끝까지 괴롭히는 괴물로 둔갑한다그렇게 많은 사람이 이 열등감이라는 괴물을 끌어안고 남이 볼까 봐 전전긍긍하며 안절부절못한다감추고 또 감추다 보면 모르는 것도 아는 척없는 것도 있는 척과대 포장한 채로 자신을 속이고 살게 된다이 경우 열등감은 실패의 걸림돌이 되어 스스로 패배의 길을 걷게 만든다.

성공하는 사람은 열등감을 극복했기에 성공할 수밖에 없다실패한 사람은 열등감의 노예로 사로잡혔기에 어떤 것도 만족이 없다항상 비교하며 남을 의식하고 남의 눈치에 따라 살다 보니 움츠릴 수밖에 없다왜소해 지는 것은 끝이 없어 결국 실패를 불러온다이러한 열등감을 극복하는 방법에는 '신앙'이 있다신앙은 열등감을 통찰하도록 만든다비관적인 환경을 비난하고 좌절하는 것이 아니라감사할 수 없는 상황에서 감사하는 것이 신앙의 힘이다.

 

또 내 속에 숨어 있는 열등감을 명료하게 만들고불행하다고 생각하는 비교의식을 찾아내는 통찰이 필요하다그때 목회자나 주변인들로부터 많은 위로와 격려실제적인 삶의 도움을 받는다면그 위로와 격려기도만으로도 새 힘을 얻고 새로운 마음가짐을 결단할 수 있다교회에서 하나님의 사랑을 느끼며 세상을 보는 시각도 바뀌고꿈도 생기고꿈을 향해 달음박질할 수도 있다.

열등감의 무기력이 찾아왔을 때이를 극복하려는 노력이 중요하다하나의 열등감을 극복하면 또 다른 열등감이 기다리고 있는데하나하나 극복해나가야 한다많은 사람이 열등감을 극복하는 힘이 무엇이냐고 이구동성으로 묻는데나는 한마디로 '예수님을 만나라'고 답한다.

신약이나 구약에 나오는 인물들을 볼 때요즘 세상의 기준에서 보면 하나같이 아무것도 내세울 것이 없다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의 사람으로또 예수님의 제자로 쓰임 받았다예수님은 어떻게 그런 사람들을 제자로 골랐을까더 똑똑하고 훌륭한 사람이 얼마나 많은데하필 열등한 사람들만 선택했으니 도무지 이해하기 어렵다하지만 중요한 것은 주인에게 쓰임 받았다는 것이다목수는 나무의 질에 따라 용도를 결정한다하나님의 쓰시기에 합당한 그릇으로 준비가 갖추어졌을 때 쓰임 받는다.

 

당신은 열등감을 극복할 수 있는 사람인가아니면 열등감의 노예인가비록 열등하고무능하고학벌이 없고병들고직업다운 직업도 없다 할지라도예수님을 만난다면 우리의 열등감은 새로운 삶의 시작이 될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이제 세상의 약한 것들을 택하여 강한 것들을 부끄럽게 하시기 때문이다내가 하는 일이나내가 하는 기업이나 사업을 하나님의 도구로 사용하시고 아무 가치도 없는 것들을 택하여 그리스도 안으로 부르신 것이다그 순간부터 나의 연약함이나 모든 무가치 한 것들은 새롭게 가치 있는 것으로 변하기 시작한다맹물이 변하여 가장 맛있는 포도주가 되듯이예수그리스도가 내 삶에 오심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영광을 위함이다결코 사람의 손으로 추진되는 것 같아도 결국은 하나님의 손에 의하여 힘을 지니게 된다.

 

 

최원호박사

국제선교신문 주필

서울한영대학교 겸임교수

저서 열등감예수를 만나다




취재: 국제선교신문 기자    기사입력 : 21-08-05 02:10

Copyright @2012 국제선교신문. All rights reserved.
국제선교신문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독자의견

나의 하나님 여호와의 이름을 위하여-대하2:1~9 중에서
국제선교신문 |
‘나의 하나님 여호와를 이름을 위하여’ 이 구절은 솔로몬 왕의 성전 건축의 목적과 신앙고백으로 나의 하나님은 여호와시라는 선명한 그의 신앙을 알게 합니다. ‘여호와’는 모세를 통해… 더보기
大韓民國은 살아 있다!
국제선교신문 |
그동안 나라가 총체적으로 병들어 있었다. 어디서부터 칼을 대야 할지도 모를 중병에 걸려 있었다. 자고 나면 시뻘건 깃발 아래서 민노총은 우는 사자처럼 길거리에서 고함을 쳤고, 그런… 더보기
따뜻한 화음
국제선교신문 |
이사장으로 있는 유나이티드문화재단의 오케스트라가 수년 전 성악가들과 함께 정부대전청사에서 독거노인들을 모시고 음악회를 개최했다.음악회가 시작되고 분위기가 고조될수록 처음에 냉랭했던… 더보기
「다윈을 법정에 세우다」를 읽고
국제선교신문 |
얼마 전에 나는 <과학의 우상화>라는 칼럼을 썼다. 그런데 바로 다음 주에 헌법 학자이자, 전 강원대학교 법과 대학장이신 김학성 박사로부터 책 한 권을 선물 받았다. 그… 더보기
역사의 반면교사, 바벨론-사47:1~11 중에서
국제선교신문 |
반면교사라는 말이 있습니다. 되풀이해서는 안 될 나쁜 본보기라는 뜻인데 최강 국가 바벨론의 쇠망사는 우리의 반면교사가 됩니다. 감히 누구도 넘볼 수 없었던 바벨론 제국이 최단명 제… 더보기
Hot
강화도 교회에서 배운다
국제선교신문 |
한국 기독교 역사에 큰 의미가 있는 강화도를 성경공부 모임에서 방문한 적이 있었다. 강화도의 선교 역사를 더듬어 보는 시간이었는데 매우 의미있고 유익했다.1893년 미국 감리교 선… 더보기
비단 장사 왕서방
국제선교신문 |
옛날 김정구 선생의 노래가 생각난다. ‘비단이 장사 왕서방... 돈이 없어도 띵 호와!’ 우리가 어릴 때 흔히 들었던 노래이다. 우리나라는 옛날부터 백의민족이라고 했지만, 사실은 … 더보기
우리, 이런 교회를 꿈꾸자 - 행 2:41~47 중에서
국제선교신문 |
우리 중엔 성령이란 말만 들어도 가슴 뛰는 분이 계실 겁니다. 이는 2000여년 전 초대교회 성도들에게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이로써 처음 교회가 예루살렘에 세워졌습니다. 그러나 교회… 더보기
Hot
기독교를 바로 알리자
국제선교신문 |
우리 기독교인들이 기독교에 대해 잘못된 인식이나 편견을 갖고 있는 주변 사람들이 기독교 신앙을 바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 주어야 한다는 것을 이야기하려고 한다. 아주 오래전 일… 더보기
Hot
민심(民心)은 천심(天心)이 아니다.
국제선교신문 |
‘민심(民心)이 천심(天心)이다’라는 말은, 중국 서경(書經)에서 나온 말이라고 한다. 헌데 오늘날 한국 정치권에는 이 말보다 더 잘 쓰이는 말은 없는 듯하다. 국회의원이나 지방 … 더보기
위로, 어떻게 해야 할까?-욥16:1~6 중에서
국제선교신문 |
위로는 삶의 양약과도 같습니다. 아마 위로가 필요하지 않은 이는 아무도 없을 것입니다. 이는 나름의 문제들을 안고 살아가기 때문일 것입니다. 우리 사회에서 종종 발생하는 묻지마 폭… 더보기
Hot
외로운 대한민국
국제선교신문 |
대한민국의 톱 가수 현미 씨가 세상을 떠났다. 들리는 말로는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이 <고독사>란 말도 있다. 지금 대한민국은 가족이 해체됨으로 노년뿐만 아니고, 중년도,… 더보기
Hot
중재, 이렇게 하라-삼하14:1~3 중에서
국제선교신문 |
살아가면서 우리가 겪는 어려운 문제 중 하나는, 불화나 오해, 갈등으로 인해 관계가 깨어졌을 때 이를 회복하는 것입니다. 이때 중재는 해결을 위한 좋은 방법이기도 합니다. 본문은 … 더보기
가정의 달에 생각한다
국제선교신문 |
5월은 가정의 달이다. 어린이날, 어버이날, 스승의 날 등 기념일이 많은 것은 가족들이 나들이하기 좋은 날씨 때문이 아닌가 생각해 본다. 그래서 가족을 위한 진정한 사랑과 효도가 … 더보기
Hot
고난의 콤플렉스를 극복하자
국제선교신문 |
14년 만에 한·일 국교 정상화 후에 말이 많다. 여기저기 굴욕 외교라 하여 연일 피켓을 들고 고함치는 자들도 있다. 우리나라는 일본으로부터 침략당했던 콤플렉스가 있고, 일본은 한… 더보기

Search

Recently

Tags

Poll


결과보기

Popul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