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로운 대한민국

선교논단 wmnews.org

외로운 대한민국

국제선교신문 기자 기사 등록: 05.01 14:15

7efd0ab4a6a7c2a32330cb5c6799781d_1682918122_3779.png
 

대한민국의 톱 가수 현미 씨가 세상을 떠났다. 들리는 말로는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이 <고독사>란 말도 있다. 지금 대한민국은 가족이 해체됨으로 노년뿐만 아니고, 중년도, 청년도 의지할 곳이 없어졌다. 젊은이들은 일자리가 없어 자포자기하면서 죽음에 이르는 고독의 늪으로 빠져들고 있다. 필자가 아는 선배 교수님은 평소 건강으로 단련된 몸이었으나, 부인과 사별한 후 고독하게 지내다가 세상을 떠났다. 그런데 죽은 지 일주일 만에 시신이 발견되었고, 그가 가지고 있던 재산을 양아들이 모두 가져갔단다. 인생의 마지막이 참으로 헛되고 헛되었다. 

 

이제 우리나라는 50세만 넘으면 은퇴하는 시대다. 자녀 교육에 올인하던 장년들은 역사의 퇴물이 되어가고 있고, 소외계층의 나락으로 떨어지고 있다. 그러니 젊은이들은 대학입학금도, 등록금도 없고 대학을 나와봐야 일할 곳이 없다. 일 없고 돈 없으면 외톨이가 되고, 외톨이가 되면 외부와 소통이 끊어진다. 사람과 사람 사이에 소통이 끊어지니 주로 스마트폰에 의지하고 산다. 요즘 가족마다 스마트폰을 사용하니 한 집에 있어도 각자 스마트폰에 빠져 있어서 가족끼리, 부부끼리 대화가 끊어지고 소통이안된다. 하기는 초등학생들마저 스마트폰에 중독되어 부모와 조부모와의 대화도 없어졌다. 최근 몇 년간 코로나19로 말미암아 이웃과의 소통과 가족 간의 소통은 더욱더 어려워졌다.

 

문제는 노년층과 빈곤층이 늘어나서 경제적 소외층이 갈 때가 없어서 고시촌에 들어가서 살지만, 그마저 월세를 감당 못해 스스로 죽음을 택하는 청년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가족이 해체되니 말할 때도 없고 기댈 때가 없다. 그러니 술로 절망을 이겨보려고 하지만 결국 아까운 청춘들이 꿈 한번 펴지 못하고 자취방에서 몇 달 만에 미라로 발견되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물론 <외로움><고독>은 다른 뜻이라고 한다. 외로움은 단절이지만, 고독은 자신이 스스로 택한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내 생각에 <외로움><고독>을 가져오고, <고독>은 곧 <외로움>이지 싶다. 하기는 문학이나 예술 창작을 하는 사람들은 고독을 즐기고 승화해, 보다 좋은 작품을 낸다고 한다. 그러나 오늘 대한민국 국민은 창작을 위해 고독해지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고독><외로움>은 우리 사회의 질병이자 사회안전망이 작동 안되는 시스템의 문제이기도 하다.

 

대한민국이 겉으로는 K-POP, K-방산, K-culture 하지만 그 빛과 그림자는 확연히 다르다. 사람들은 소외된 사람들에게 무심하다. 소외된 사람은 소통도 안된다. 더구나 노인과 장애인들은 갈 때도 없고, 기댈 때도 없어 방황하고 있다. 하기는 선한 이웃들이 무료급식이나 복지에 도움을 주는 것은 고마운 일이지만, 그것만으로 대한민국의 노인과 중년과 청년과 장애인들의 텅 빈 고독과 외로움을 달랠 길 없다. 1인 가구가 늘어나니 인구는 절벽이고, 결혼을 할래야 할 수도 없다. 설령 결혼을 한다 해도 집도 없고, 반듯한 직장이 없기에 알바를 두 세게 해야 겨우 입에 풀칠하는 시대이다. 더구나 자녀 생산은 꿈도 못 꾸는 시대이다. 살아보려고 발버둥 치다 대출을 받았다가는 원금과 이자를 갚지 못하면 회생 불가능한 신용불량자가 되고 만다.

 

그럼에도 지금 정치권은 배부른 쌈박질에 여념이 없다. 수백 수천억을 도적질하고도 눈 하나 깜짝 안하는 자()들이 있는가 하면, <법 가지고 장난치고>, <법 가지고 이용해 먹고>, <법 가지고 수백까지 해택>을 만들고 있다. 여야 할 것 없이 나라의 백년대계를 위하여 일하지 않고, <자기 정치>, <자리 안보>만을 위해서 일하고 있으니..지방자치 장들과 국회의원들은 요즘 하는 일이 겨우 문화관광 사업이라고 해서 <둘레길 만들기>, <출렁다리 만들기>, <정원 만들기>에 수백, 수천억 원을 쏟아붓고 있다. 다 좋은데 이 땅에 죽어가는 청년들, 절망적인 노인네들과 장애인들을 돌봤으면 한다. 외형적 업적을 내세워서 선거에 유리한 고지를 점령하기 위한 보여주기식 정책만 하지 말고, <병든 국민>, <고독한 사람>, <소외된 사람>들에게 빛을 주어야 한다.

 

이 일에 국가만 할 것이 아니고, 종교계 특히 기독교회가 발 벗고 나서야 할 것이다. 교회가 중산층 이상의 성도들만 붙잡고 해외 선교와 교회당만 크게 지을 것이 아니라, 기도로 세워진 <대한민국>이라는 이 땅에 발을 딛고 자는 자들이, 더 이상 절망의 늪에서 허우적거리다 고독사를 맞는 사람들이 없도록 적극적으로 도와야 한다고 본다. 빛나는 업적 위주의 사업보다, 소통의 끈이 떨어진 고독하고 외로운 자들의 눈물을 닦아주고, 껴안아 주는 교회가 되었으면 한다. 정신 건강 의사나 상담사의 역할들도 참으로 중요하다. 하지만 이럴 때일수록 <복음>을 잘 깨우쳐서 마음을 위로하는 정도가 아니라, <영혼의 빛>을 비추어서 새 생명을 얻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인간은 홀로 살 수가 없다. 성경 창세기에 하나님은 말씀하시기를 <사람이 독처하는 것이 좋지 않다>고 하시면서 <돕는 배필>을 주셨다. 더불어 함께 사는 것은 <외로움><고독>을 이기는 근원이 된다.

 

하나님은 우리가 가장 외롭고 고독할 때 찾아오시는 분이시다. 야곱이 부모를 속이고, 형을 속이고 인간의 패자가 되어 외삼촌 집으로 도망하다, 벧엘 광야에서 살아계신 하나님을 만난다. 나는 목사로서 대한민국 사람들이 이 처절한 <고독><외로움> 속에서, 하나님을 만나고, 예수 그리스도를 만나기를 간절히 기도할 뿐이다



정성구 박사(전 총신대대신대 총장) 


취재: 국제선교신문 기자    기사입력 : 23-05-01 14:15

Copyright @2012 국제선교신문. All rights reserved.
국제선교신문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독자의견

주인정신과 나그네 정신
국제선교신문 |
도산 안창호(1884~1969) 선생은 ‘주인 정신’을 교육함으로써 흩어졌던 하와이 교민들을 단결시켰다. 독립운동 자금을 모금해 임시정부로 보냈고, 희망을 잃었던 교민들에게 자립할… 더보기
명문대학
국제선교신문 |
하버드 대학교는 아이비리그에 속한 최상위 대학이다. 하지만 미국의 대학 순위를 매기는 Best US. news의 보고서를 보면, 지난 10년간 하버드 대학교가 미국 대학교의 1위 … 더보기
「예수님의 재림에 관한 미혹들 」 - 데살로니가후서 2:1~12 중에서-
국제선교신문 |
예수님 승천 후 열흘 정도 지난 오순절날 아침, 예루살렘의 어느 다락방에 모인 120여 명의 사람들에게 성령강림의 신비롭고도 놀라운 사건이 있었습니다. 성도들은 다른 언어로 말하기… 더보기
Hot
신흥종교(新興宗敎)
국제선교신문 |
한국은 신흥종교(新興宗敎) 천국이라 할 수 있다. 신흥종교를 다른 말로 <이단(異端) 종파>라고 말하기도 한다. 이단 종파는 외국산도 있지만, 국내산이 더 많다. 이단 … 더보기
Hot
「 특종 중의 특종 」- 마태복음 2:1~11 중에서
국제선교신문 |
성경은 여러 가지 특종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이를 통해 역사를 섭리해 오셨습니다. 특종 중의 특종은 예수님이십니다. 그 이유는, 예수님이 역사의 분기점이 되셨기 때문… 더보기
Hot
진정한 복
국제선교신문 |
어느 종교나 동일하게 복 받으라는 이야기를 많이 한다. 기독교도 예외 없이 교회에 가면 목사님의 설교에서 복받는 내용의 예화와 설교가 자주 등장한다. 사찰들도 복 받기 위해 불공을… 더보기
Hot
斷食政治
국제선교신문 |
<단식(斷食)>은 특정 목적을 위해서 일정 기간 음식과 음료를 자발적으로 끊는 행위를 말한다. 그리고 <금식(禁食)>은 일정 기간 하나님께 서원한 것을 개인적… 더보기
Hot
거짓 선지자들과 거짓 예언들-겔13:1~10 중에서
국제선교신문 |
에스겔은 남유다의 격변기에 활동한 선지자였습니다. 그는 유다가 멸망하기 11년 전쯤 바벨론에 포로로 끌려갔고, 포로가 된 지 5년쯤 되어 선지자로 소명을 받았습니다. 그의 주된 사… 더보기
Hot
찬송가 가사에 담긴 깊은 은혜
국제선교신문 |
크리스천들이 매 주일 교회에서 예배 드리며 하나님께 올려 드리는 찬송가에 대해 이야기 하려 한다.경기도의 한 교회가 성도들의 신앙을 성장 시키기 위해 아동부부터 청장년에 이르기까지… 더보기
Hot
나의 하나님 여호와의 이름을 위하여-대하2:1~9 중에서
국제선교신문 |
‘나의 하나님 여호와를 이름을 위하여’ 이 구절은 솔로몬 왕의 성전 건축의 목적과 신앙고백으로 나의 하나님은 여호와시라는 선명한 그의 신앙을 알게 합니다. ‘여호와’는 모세를 통해… 더보기
Hot
大韓民國은 살아 있다!
국제선교신문 |
그동안 나라가 총체적으로 병들어 있었다. 어디서부터 칼을 대야 할지도 모를 중병에 걸려 있었다. 자고 나면 시뻘건 깃발 아래서 민노총은 우는 사자처럼 길거리에서 고함을 쳤고, 그런… 더보기
Hot
따뜻한 화음
국제선교신문 |
이사장으로 있는 유나이티드문화재단의 오케스트라가 수년 전 성악가들과 함께 정부대전청사에서 독거노인들을 모시고 음악회를 개최했다.음악회가 시작되고 분위기가 고조될수록 처음에 냉랭했던… 더보기
Hot
「다윈을 법정에 세우다」를 읽고
국제선교신문 |
얼마 전에 나는 <과학의 우상화>라는 칼럼을 썼다. 그런데 바로 다음 주에 헌법 학자이자, 전 강원대학교 법과 대학장이신 김학성 박사로부터 책 한 권을 선물 받았다. 그… 더보기
Hot
역사의 반면교사, 바벨론-사47:1~11 중에서
국제선교신문 |
반면교사라는 말이 있습니다. 되풀이해서는 안 될 나쁜 본보기라는 뜻인데 최강 국가 바벨론의 쇠망사는 우리의 반면교사가 됩니다. 감히 누구도 넘볼 수 없었던 바벨론 제국이 최단명 제… 더보기
Hot
강화도 교회에서 배운다
국제선교신문 |
한국 기독교 역사에 큰 의미가 있는 강화도를 성경공부 모임에서 방문한 적이 있었다. 강화도의 선교 역사를 더듬어 보는 시간이었는데 매우 의미있고 유익했다.1893년 미국 감리교 선… 더보기

Search

Recently

Tags

Poll


결과보기

Popul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