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지자가 왜 욕을 해!

선교논단 wmnews.org

선지자가 왜 욕을 해!

국제선교신문 기자 기사 등록: 2022.08.08 18:35

496ad4550157377f7c1beab2f83484aa_1659951333_2874.png
 


 

최근 수년 전부터, 나는 매 주일 칼럼을 쓰고 있었다. 들리는 말로는 국내의 모든 교파의 교역자들과 평신도들 그리고 선교사들과 해외동포를 합하면 적어도 10만여 명이 필자의 글을 읽고 있다고 들었다. 그리고 이글들이 묶어져서 <목사가 왜 욕을 해>, <목사가 왜 정치를 해>라는 책이 출판되어 인기리에 팔리고 했다고 한다. 개인적으로 3년 동안 한 주일도 빠짐없이 매주 칼럼을 쓰는 것은 여간 부담되는 것도 아니고, 소재의 한계도 있고, 정권과 교권을 동시에 깨우는 것에 독자들의 감동을 일으키는 것은 그리 만만한 것이 아니었다. 어떤 때는 밤잠을 자지 못하고, 밤을 꼬박 새우면서 화제를 생각하다 보면 새벽 2~5시까지 집필을 하였다. 읽는 분들은 편안한 마음으로 읽고 댓글을 달기도 하고 감사하기도 하지만, 내 입장에서 보면 한 주제를 가지고 사투를 벌이는 것이 보통이었다.

나는 지금도 첫잠에서 깨어나서 새벽 1시에 이 글을 쓰고 있다. 왜냐하면 구약의 마지막 선지자이자, 신약의 순교자요, 예수 그리스도의 전령 자로서 길을 닦는 선지자 세례요한의 거침없는 욕설, 차마 입에 담기도 민망한 그의 욕설 때문이다. 일반인의 인식은 목사와 장로는 욕을 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그런데 광야의 외치는 자의 소리!’라는 별명을 가진 이스라엘의 마지막 선지자인 세례요한은, 거친 야생마처럼 당시의 종교와 정치의 지배층과 특권계급을 향해서 듣기에도 섬뜩한 <독사의 자식들!>이라고 욕을 퍼부었다.

그렇다면 선지자 요한은 왜 이런 욕을 했을까? 선지자라면 좀 스마트하게, 표준말로 사람들에게 희망의 메시지를, 또는 긍정적인 메시지를 주어야겠지만, 나실인인 세례요한은 거침이 없었다. 나실은 본래가 여호와의 참 종교의 순수성을 보존하기 위해서 하나님께 온전히 헌신하고, 독주를 마시지 않고, 시체에 손을 대지 않고, 머리털과 수염을 깎지 않는다. 또한 나실인은 하나님 중심의 삶을 살고, 절제와 순종을 삶의 원리로 살아간다. 그런데 선지자 세례요한은 나라 빼앗긴 가난한 백성들에게 좀 더 희망과 위로의 메시지를 전하지 않고, 간담이 서늘하고, 불쾌하고, 입에 담지 못한 욕을 당대의 종교지도자들과 정치 지도자들에게 무차별 퍼부었다. 세례요한의 본래 사명은 광야의 소리로서 예수 그리스도의 길을 닦는 자의 사명을 받았다. 때문에 그는 불도저 역할을 할 수 밖에 없었다. 그는 언덕을 깎고, 골짜기는 메꾸고, 돌덩이는 골라내고, 예수 그리스도께서 장차 이룩하실 <하나님의 나라> 건설의 전위대였다. 당시 사람들 특히 바리새파 사람들은 종교인이었지만, 성경적 신앙을 갖고 있지는 않았다. 그들은 기득권 사수, 스팩, 혈통, 역사적 관습, 전통을 지키고 화석처럼 굳어있는 종교 행위를 신앙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니 그들의 속은 예수님이 말씀한 데로 썩어 냄새가 났다. 한마디로 겉만 화려하게 횟가루를 발라놓은 무덤같은 종교였다. 또한 사두개인들은 정치가들로서 내세도, 천사도 믿지 않으면서 제사장직을 독점하고 있었고, 유대 최고법정인 산헤드린 공회를 완전 장악하고 있었던 철두철미한 세속인들이었다. 이 자()들의 생각에 자기들은 뼛속까지 아브라함의 자손이고, 유대교의 교육을 확실히 받고, 토라를 외우고 있으니 구원은 이미 얻은 것이나 다름없다고, 자기들만이 아브라함의 자손으로서 특권을 누릴 자격이 있다고 스스로 생각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 자()들을 향해 <독자의 자식들!>이라는 세례요한의 폭탄적 메시지는, 당시 정치 집단과, 종교 집단을 향한 엄청난 욕이었다. 어떤 사람들은 욕을 해도 좀 비유적으로 젊잖게 할 수가 없는지? 선지자답게 권고와 위로와 평강을 줄 수 없는지?’라고 생각할 것이다. 그래서 세례요한이 좋은 말로 이렇게 말했으면 어떨까? 마치 교황이 말하듯, “여러분 행복하세요!”, “서로 용서하고 평화를 말하시오!”등등..분명 좋은 말이다. 오늘의 목사님들도 좋은 말을 많이 한다. “인간은 마음먹기에 따라 달라진다”, “자존심과 자긍심을 가지세요!”,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세요등등...분명 이 또한 좋은 말이다. 하지만 이런 말은 성경도 아니고, 복음도 아니다. 만약 요즘 세례요한처럼 불같은 메시지를 전하는 목사가 있다면, 그는 교회에서 즉시 쫓겨날 것이고, 이단으로 소송이 제기될 것이다.

그런데 세례요한은 선지자의 소명과 사명자로서, 생명 걸고 독사의 자식들아! 회개하지 않으면 멸망 받는다!”고 피맺힌 열정으로 절규하며 고함쳤다. 왜 절규하며 욕을 했는가? 혈통과 스팩과 전통에 단단히 굳어진 돌맹이처럼 희망 없는 자들에게는, 부서지고 가루가 되는 <회개>의 과정이 있어야 복을 받고, 비로소 아브라함의 자손이 되기 때문이다. 때문에 선지자 세례요한이 거친 광야에서 이것저것 가리지 않고, 이스라엘 백성에게 대놓고 직사포로 욕을 한 것은, 결국 이스라엘 백성에 대한 타는듯한 애정이 있었기 때문이다. 세례요한은 그들에게 하나님은 돌로도 아브라함의 자손이 되게 할 수 있다고 전했다. 즉 돌처럼 굳어지고 이스라엘 광야에서 굴러다니는 돌맹이처럼, 천한 것을 가지고도 하나님의 권능으로 아브라함의 자손을 만들겠다는 것이다. 그것은 전적으로 무능하고 타락한 인간은 자기 힘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권능>으로, <하나님의 은총>으로 가능하다는 복음을 제시했던 것이다. 때문에 세례요한의 메시지는 바울의 신학과 다르지 않다. 세례요한은 바로 그 당시 종교개혁자이다.

선지자 세례요한! 그는 그냥 거친 욕쟁이가 아니고, 돌덩이 같은 인간을 갖고도 하나님의 택한 백성을 만들 수 있다는 오직 하나님의 은총(Sola Gratia)의 복음을 증거했었다.


정성구 박사(전 총신대대신대 총장) 

취재: 국제선교신문 기자    기사입력 : 22-08-08 18:35

Copyright @2012 국제선교신문. All rights reserved.
국제선교신문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독자의견

주인정신과 나그네 정신
국제선교신문 |
도산 안창호(1884~1969) 선생은 ‘주인 정신’을 교육함으로써 흩어졌던 하와이 교민들을 단결시켰다. 독립운동 자금을 모금해 임시정부로 보냈고, 희망을 잃었던 교민들에게 자립할… 더보기
명문대학
국제선교신문 |
하버드 대학교는 아이비리그에 속한 최상위 대학이다. 하지만 미국의 대학 순위를 매기는 Best US. news의 보고서를 보면, 지난 10년간 하버드 대학교가 미국 대학교의 1위 … 더보기
「예수님의 재림에 관한 미혹들 」 - 데살로니가후서 2:1~12 중에서-
국제선교신문 |
예수님 승천 후 열흘 정도 지난 오순절날 아침, 예루살렘의 어느 다락방에 모인 120여 명의 사람들에게 성령강림의 신비롭고도 놀라운 사건이 있었습니다. 성도들은 다른 언어로 말하기… 더보기
Hot
신흥종교(新興宗敎)
국제선교신문 |
한국은 신흥종교(新興宗敎) 천국이라 할 수 있다. 신흥종교를 다른 말로 <이단(異端) 종파>라고 말하기도 한다. 이단 종파는 외국산도 있지만, 국내산이 더 많다. 이단 … 더보기
Hot
「 특종 중의 특종 」- 마태복음 2:1~11 중에서
국제선교신문 |
성경은 여러 가지 특종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이를 통해 역사를 섭리해 오셨습니다. 특종 중의 특종은 예수님이십니다. 그 이유는, 예수님이 역사의 분기점이 되셨기 때문… 더보기
Hot
진정한 복
국제선교신문 |
어느 종교나 동일하게 복 받으라는 이야기를 많이 한다. 기독교도 예외 없이 교회에 가면 목사님의 설교에서 복받는 내용의 예화와 설교가 자주 등장한다. 사찰들도 복 받기 위해 불공을… 더보기
Hot
斷食政治
국제선교신문 |
<단식(斷食)>은 특정 목적을 위해서 일정 기간 음식과 음료를 자발적으로 끊는 행위를 말한다. 그리고 <금식(禁食)>은 일정 기간 하나님께 서원한 것을 개인적… 더보기
Hot
거짓 선지자들과 거짓 예언들-겔13:1~10 중에서
국제선교신문 |
에스겔은 남유다의 격변기에 활동한 선지자였습니다. 그는 유다가 멸망하기 11년 전쯤 바벨론에 포로로 끌려갔고, 포로가 된 지 5년쯤 되어 선지자로 소명을 받았습니다. 그의 주된 사… 더보기
Hot
찬송가 가사에 담긴 깊은 은혜
국제선교신문 |
크리스천들이 매 주일 교회에서 예배 드리며 하나님께 올려 드리는 찬송가에 대해 이야기 하려 한다.경기도의 한 교회가 성도들의 신앙을 성장 시키기 위해 아동부부터 청장년에 이르기까지… 더보기
Hot
나의 하나님 여호와의 이름을 위하여-대하2:1~9 중에서
국제선교신문 |
‘나의 하나님 여호와를 이름을 위하여’ 이 구절은 솔로몬 왕의 성전 건축의 목적과 신앙고백으로 나의 하나님은 여호와시라는 선명한 그의 신앙을 알게 합니다. ‘여호와’는 모세를 통해… 더보기
Hot
大韓民國은 살아 있다!
국제선교신문 |
그동안 나라가 총체적으로 병들어 있었다. 어디서부터 칼을 대야 할지도 모를 중병에 걸려 있었다. 자고 나면 시뻘건 깃발 아래서 민노총은 우는 사자처럼 길거리에서 고함을 쳤고, 그런… 더보기
Hot
따뜻한 화음
국제선교신문 |
이사장으로 있는 유나이티드문화재단의 오케스트라가 수년 전 성악가들과 함께 정부대전청사에서 독거노인들을 모시고 음악회를 개최했다.음악회가 시작되고 분위기가 고조될수록 처음에 냉랭했던… 더보기
Hot
「다윈을 법정에 세우다」를 읽고
국제선교신문 |
얼마 전에 나는 <과학의 우상화>라는 칼럼을 썼다. 그런데 바로 다음 주에 헌법 학자이자, 전 강원대학교 법과 대학장이신 김학성 박사로부터 책 한 권을 선물 받았다. 그… 더보기
Hot
역사의 반면교사, 바벨론-사47:1~11 중에서
국제선교신문 |
반면교사라는 말이 있습니다. 되풀이해서는 안 될 나쁜 본보기라는 뜻인데 최강 국가 바벨론의 쇠망사는 우리의 반면교사가 됩니다. 감히 누구도 넘볼 수 없었던 바벨론 제국이 최단명 제… 더보기
Hot
강화도 교회에서 배운다
국제선교신문 |
한국 기독교 역사에 큰 의미가 있는 강화도를 성경공부 모임에서 방문한 적이 있었다. 강화도의 선교 역사를 더듬어 보는 시간이었는데 매우 의미있고 유익했다.1893년 미국 감리교 선… 더보기

Search

Recently

Tags

Poll


결과보기

Popular